8월의 크리스마스 - 죽음을 앞둔 자가 사랑을 대하는 방식

728x90

8월의 크리스마스 - 죽음을 앞둔 자가 사랑을 대하는 방식

한 편의 사진처럼 조용하고, 한 장의 엽서처럼 애틋한 영화가 있다. 1998년, 한국 멜로 영화의 새로운 문법을 만들어낸 작품, 8월의 크리스마스. 허진호 감독의 섬세한 연출 아래 한석규와 심은하가 만들어낸 사랑은, 소리 없이 마음을 흔드는 감정의 파동이었다. 이 영화는 대사를 많이 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침묵이 오히려 더 많은 것을 이야기한다. 사랑이란 무엇인지, 삶의 끝자락에서 어떤 감정이 우리를 지탱하는지 묻는 이 영화는, 여전히 한국 영화사에서 빛나는 클래식이다.

사진관을 운영하는 정원(한석규)은 조용하고 단정한 삶을 살아간다. 이미 자신의 죽음을 알고 있는 그는, 그 사실을 누구에게도 알리지 않는다. 그런 그에게 어느 날, 주차 단속원 다림(심은하)이 찾아온다. 다림은 밝고 건강한 에너지를 지닌 인물이며, 정원의 세계를 서서히 흔들어놓는다. 이들의 관계는 빠르지 않다. 불꽃 같은 열정도, 거센 대립도 없다. 대신, 일상의 조용한 풍경 속에서 잔잔하게 피어나는 감정이 있다. 그것은 마치 정원의 사진처럼, 시간을 정지시켜 놓은 듯한 아름다움을 지닌다.

이 영화는 '죽음을 앞둔 사람이 사랑을 어떻게 대하는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정원은 다림에게 자신의 병을 말하지 않는다. 그녀가 자신을 안쓰러워하게 될까 봐, 또는 자신과의 사랑이 그녀의 삶을 짧게 붙잡아둘까 봐. 정원은 이별을 선택한다. 말없이, 다림이 사랑을 고백하기도 전에. 이 장면은 관객에게 묵직한 울림을 준다. 사랑은 때로, 전하지 않음으로써 더 깊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 영화는 보여준다.

8월의 크리스마스는 감정을 과장하지 않는다. 카메라는 인물들의 얼굴에 오래 머물지 않고, 그들이 마주한 창문 너머 풍경이나 사진관 구석구석을 비춘다. 감정의 폭발 대신, 감정의 잔향을 남긴다. 이 영화가 오랫동안 회자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관객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여운’이라는 감정이, 영화가 끝난 후에도 쉬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다림의 밝음과 정원의 고요함은 대조적이지만, 그 조화 속에서 우리는 사랑의 또 다른 얼굴을 본다. 반드시 뜨겁게 타오르지 않아도, 사랑은 존재할 수 있다. 말 없이 서로를 이해하고, 눈빛 하나로 마음을 나누는 관계. 영화는 그런 사랑이야말로 가장 깊고 진실한 감정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것은 죽음을 앞둔 이가 마지막으로 붙잡고 싶었던 감정이었다.

결국 정원은 세상을 떠난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사진과 편지, 그리고 일상의 기록들을 다림에게 남긴다. 그것은 작별이자 고백이다. 살아 있는 동안 표현하지 못한 사랑을, 그는 죽음 이후에야 남긴다. 이 영화는 사랑의 종착점을 죽음으로 두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에도 감정이 지속될 수 있음을 말한다.

8월의 크리스마스는 사랑에 관한 영화이자, 죽음에 관한 철학적 성찰이기도 하다. 우리는 사랑할 때 자신의 끝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원은 그 끝을 이미 알고 있었다. 그리고 그 지점에서 가장 온전한 사랑을 남겼다. 그것이 이 영화가 주는 가장 큰 감동이다. 살아 있는 지금, 사랑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마지막 장면, 다림이 정원의 사진을 들고 눈물을 머금은 채 웃는 장면은, 죽은 이와 산 이가 나누는 마지막 대화처럼 느껴진다. 말은 없지만, 모든 것이 전해진다. 그것이 이 영화의 언어다.

그렇다면 우리는 질문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당신이 죽음을 앞두고 있다면, 지금 누구에게 어떤 사랑을 남기시겠습니까?"

#해시태그

#8월의크리스마스 #한석규심은하 #한국멜로영화명작 #허진호감독 #조용한사랑 #죽음을앞둔사랑 #사진과기억 #사랑의여운 #영화에세이 #영화감상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