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 다가갈 수 없는 거리, 그 안에 피어난 감정

728x90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 다가갈 수 없는 거리, 그 안에 피어난 감정

우리는 누군가를 사랑할 때, 그 사람의 세계를 얼마나 깊이 이해할 수 있을까. 아니, 그 세계에 들어갈 수는 있을까.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은 그 질문을 던지는 영화다. 2003년 일본에서 개봉된 원작 영화는 이후 여러 나라에서 리메이크되었고, 2020년에는 한국에서도 새로운 해석으로 탄생했다. 이창 감독이 연출한 한국판 조제는 장애를 가진 여성과 평범한 청년 사이의 사랑이라는 섬세한 감정을 그리며, 관객에게 깊은 질문을 남긴다.

조제(한지민)는 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는 여성이다. 휠체어에 의지해 살아가며, 자신의 세계에 벽을 세우고 그 안에서만 존재한다. 책을 읽고, 상상하며, 가상의 세계를 구축하는 그녀는 겉으로는 차갑고 예민하지만, 그 안에는 누구보다 섬세하고 뜨거운 감정이 흐른다. 그런 그녀 앞에 청년 영석(남주혁)이 나타난다. 우연한 만남, 그리고 반복되는 방문. 그렇게 두 사람은 서로의 세계를 조금씩 열어간다.

이 영화는 사랑의 본질을 물으며, 감정이 어떻게 시작되고,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를 섬세하게 따라간다. 조제는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기에 사랑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 반면 영석은 그녀의 세계가 낯설고 어렵지만, 점점 그 안에 스며든다. 영화는 두 사람의 관계를 낭만적으로 포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현실적이고 솔직하게 마주하게 한다. 결국 두 사람은 이별하게 되지만, 그 사랑은 결코 헛되지 않았다. 그것은 서로가 서로의 세계를 잠시나마 이해하고 품었던 시간이었다.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이 특별한 이유는, '다름'에 대한 태도를 정직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조제는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존재로 그려지지만, 그 도움은 ‘시혜’가 아니라 ‘관계’로 확장된다. 영석은 그녀를 불쌍히 여기거나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다. 그는 단지 그녀가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어 할 뿐이다. 그리고 바로 그 태도에서 우리는 ‘진짜 사랑의 출발점’을 본다.

영화의 영상미도 인상적이다. 조제의 방, 조제의 책상, 조제의 꿈들이 애니메이션처럼 표현되기도 하고, 잿빛 현실 속에 놓인 작은 빛처럼 연출된다. 그 대비는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오가며 관객에게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누구의 세계 안에 들어갈 자격이 있는가?"

조제는 늘 외롭다. 그리고 그것을 스스로 견디려 한다. 그녀의 고통은 '장애' 그 자체보다는, 세상의 시선과 단절에서 비롯된다. 그런 그녀가 영석에게 마음을 열고, 그와 사랑을 나누고, 또 이별을 선택하는 과정은, 마치 한 편의 긴 에세이 같다. 사랑이라는 감정이 가진 무게와 책임, 그리고 그 안에서 자신을 지켜야 하는 사람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영화는 단순한 러브스토리가 아니다. 그것은 삶의 방식이 다르다는 이유로 맺기 어려운 관계들에 대해, 우리가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를 묻는 철학적인 영화다. 조제는 상상 속에서 ‘호랑이’를 키우고, ‘물고기들’을 돌본다. 그것은 현실을 버텨내는 그녀만의 방식이다. 그리고 그 상상의 세계를 존중해준 단 한 사람이, 바로 영석이었다.

결국, 영화는 질문을 남긴다. 사랑이란 감정이 누군가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이자, 자신의 세계를 열어주는 일이라면, 우리는 과연 얼마나 정직하게 그것을 해냈는가? 우리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누군가를 이해하려 했는가, 아니면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했는가?

마지막 장면에서 조제는 다시 혼자가 된다. 그러나 그녀는 더 이상 예전의 조제가 아니다. 누군가와 사랑을 나누었던, 세계를 열어본 사람이다. 그리고 그 기억은 그녀를 다시 고독 속에 밀어 넣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지탱하는 힘이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질문을 마주하게 됩니다.
"당신은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타인의 세계를 얼마나 깊이 이해하고 존중한 적이 있나요?"

#해시태그

#조제호랑이그리고물고기들 #조제리메이크 #한지민남주혁 #장애와사랑 #다름의존중 #사랑의방식 #관계의철학 #로맨스영화리뷰 #영화감상문 #영화에세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