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제 상식 #12 - 경상수지란 무엇인가?
1. 경상수지의 정의
경상수지(Current Account Balance)는 한 나라가 외국과 상품·서비스 거래, 투자 수익, 이전소득 등에서 벌어들인 외화와 지출한 외화의 차이를 말합니다. 국제수지의 핵심 지표 중 하나로, 국가 경제의 대외 건전성을 나타냅니다.
2. 경상수지 구성 요소
구성 항목 | 내용 |
---|---|
무역수지 | 상품 수출입의 차액 |
서비스수지 | 운송, 여행, 보험 등 서비스 거래 |
본원소득수지 | 배당금, 이자, 임금 등 해외 투자소득 |
이전소득수지 | 해외 송금, 국제원조 등 무상 이전 |
3. 경상수지 흑자 vs 적자
- 흑자: 벌어들인 외화가 지출한 외화보다 많음 → 외환보유고 증가
- 적자: 외화 지출이 수입보다 많음 → 대외 신용도 하락 우려
4. 한국의 경상수지 흐름
- 한국은 수출 중심 경제 구조로 경상수지 흑자 기조 유지
- 2020년대 이후 반도체, 자동차, K-콘텐츠 등 주요 수출 품목 호조
- 서비스수지 및 여행수지는 적자 요인으로 작용
5. 경상수지의 경제적 의미
- 국가의 외환 수급 안정성과 직결
- 환율, 금리, 대외신용등급 등에 영향
- 장기적인 수지 적자는 국가 부채 증가와 연결
6. 결론
경상수지는 한 나라의 대외 거래 상태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흑자가 무조건 좋은 것도, 적자가 항상 나쁜 것도 아니며, 국가의 경제 구조와 성장 전략에 따라 유동적으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 해시태그 (SEO 최적화)
#경상수지 #무역수지 #국제수지 #외환수급 #흑자적자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 #경제기초 #금융상식 #대외거래 #수출입흐름 #외환보유고 #국가경제 #국제경제지표
728x90
'먼지 많은 창고의 내용물 > 경제와 돈의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상식 #14 - CD금리란 무엇인가? (4) | 2025.03.29 |
---|---|
경제 상식 #13 - 명목 GDP와 실질 GDP 차이 (2) | 2025.03.29 |
경제 상식 #11 -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2) | 2025.03.29 |
경제 상식 #10 -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3) | 2025.03.29 |
경제 상식 #9 - 부채비율이란 무엇인가? (1) | 2025.03.29 |